문화재보호재단에서 출판한 책을 스캔받은 것이 있어서 필요부분만 편집해서 올립니다.
(출처는 "화려한 색채예술 단청(정세훈)".. 저자는 보호재단 단청 강의하는 단청기술자라고 되어있네요..)
설명은 아래순서로 하겠습니다.
1. 서까래 단청 설명
2. 부연 단청 설명
3. 궁궐 전각의 부연 단청 사용예시
(참고: 괄호안에 설명은 네이버 검색하고 제가 알고 있는 것을 덧붙인 내용입니다.)
-----
1. 서까래 단청 (종류는 더 다양하지만 책에 나온것만 올립니다.)
- 육엽 연화(연꽃) 무늬 (유교적으로 연꽃은 '군자'의 의미를 갖고 있다네요)
-웅련화 무늬 (갓 피기 시작하는 연꽃 문양이랍니다. 단청 기술자께서는 가운데 흰점들을 분점이라고 부르고 있었습니다.)
- 주화무늬 (잎이 다섯개네요. 감꼭지 문양이라고 합니다. 만사형통을 의미한다고 하네요.)
- 겹연화 무늬
2. 부연 단청
- 매화점 : '분점을 중앙에 찍고 5~6개로 둘레에 찍어 매화형으로 찍은 것을 말한다 (책인용)' / (각각의 흰점을 분점이라고 부르네요. 서까래 웅련화의 분점과 똑같지만 여기서는 매화점이라고 부르고 있었습니다).. 6개 또는 7개 찍는 이유를 전문가에게 직접 물어봐야할 듯 하네요.
- 테두리없는 것과 녹색 테두리가 있는 매화점 무늬
- 부연에는 이런 '금문'을 사용하기도 했음
(금문은 단청의 기하적인 무늬들을 통칭하는 용어인듯합니다. 아래는 인용글입니다.
'금문은 기하학적인 특성이 조합된 연속무늬이다. 기본 구성형태인 원형, 세모형, 네모형, 육모형 등은 각각 상징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 출처: 논문: 한국 전통 단청 금문의 현대 공간적 표현에 관한 연구 : 국회도서관사이트에서 검색하면 100페이지 짜리 논문 볼수 있음)
3. 궁궐 전각 사용예시
경복궁 근정전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 매화점 6개 (가운데1개,주변부 5개)
창덕궁 인정전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 매화점 6개 (가운데1개,주변부 5개)
창경궁 명정전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 매화점 6개 (가운데1개,주변부 5개)
경복궁 교태전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금문
창덕궁 대조전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금문
창덕궁 희정당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매화점 7개 (가운데1개,주변부 5개)
창경궁 통명전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매화점 7개 (가운데1개,주변부 6개)
창경궁 함인정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매화점 7개 (가운데1개,주변부 6개)
창덕궁 돈화문 (상하층) ; 서까래-육엽 연화문 / 부연-매화점 6개 (가운데1개,주변부 5개) // 삼태극(황적청)
창경궁 홍화문 (상층) ; 서까래-웅련화문 / 부연-매화점 6개 (가운데1개,주변부 5개) // 이태극(음양: 흑백)
창경궁 홍화문 (하층) ; 서까래-웅련화문 / 부연-매화점 7개 (가운데1개,주변부 6개) // 이태극(음양: 흑백)
- 근정전
- 인정전
- 명정전
- 교태전
- 대조전
- 희정당
- 통명전
- 돈화문
- 홍화문